본문 바로가기

팁???

(10)
웹 쏘쏘쏘켓 vs SSE 웹 소켓 소개 웹소켓 프로토콜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기능으로써 클라이언트 양방향 통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HTTP와는 다른 TCP 프로토콜이지만 HTTP에서 동작가능하게 디자인 되었고 80, 443 포트를 사용하며 방화벽규칙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일반 HTTP 요청에 Upgrade 헤더를 포함한 reqeust를 전송하면 WebSocket protocol로 변환되며 WebSocket interaction이 시작된다. SSE 자세히 알아보기 SSE는 서버의 데이터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클라이언트에 보내는 기술이다. 위의 그림처럼 클라이언트에서 처음 HTTP 연결을 맺고 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TTP 요청은 하나의 [요청 - 응답..
트러트러트러블 슈티이이잉~ 2022 년 7월 5일 트러블 슈팅 7월 5일은 나의 전역날. 아침부터 일단 좋네요 1. dto 값으로 지금 토큰 생성하는데 이것을 db값으로 토큰생성하게 바꿔본다. 2. 비밀번호 복호화 비밀번호 복호화 DB에 저장되는 암호키와 로그인 혹은 입력 수정 삭제 작업 요청을할때 입력한 비밀번호를 똑같은 형태로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두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을 성공시켜 주지만 그것은 HashCode를 사용하여 비교할때이며 Spring Security에서는 이 방법이 먹히지 않습니다. Spring Security는 매번 랜덤키를 부여하기때문에 따로 디코딩작업을 추가해야합니다. BCryptPasswordEncoder encoder = new BCryptPasswordEncoder(); if(encoder.ma..
깃베시에서 젠킨슨 패기 일단 깃베시를 실행시킨후에 shh- 로 실행시킨다 ls cd를 통하여 파일을 찾는다 파일을 찾은후에 이미지를 생성후ㅠ 처참히 패배 . 이새끼 못이김요. 더 약골인 깃액션으로 타겟변경
도커도커몬 도커 이미지 생성할때 폴더를 타고 $ vi Dockerfile 을 해준후에 카피옆에 맨앞에./랑 *을 없애주고 0.0.1-SNAPSHOT를 입력해준후에 이미지를 생성하면 이미지 생성이 된다
깃베시 -bash: ./gradlew: Permission denied 뜰때 chmod +x gradlew 저 코드를 깃베시에 입력하여 권한을 주면 된다
깃허브 액쎤~~ + plain jar 파일 생성 막기요 첫번째 빨간색 동그라미 안에 액션을 클릭합니다. 두번째 자바 윗 그레이들 을 클릭합니다 이런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자바 버전과 브랜치를 맞추면 완성입니다 원하는 디렉토리에 깃액션 실행하기 밑줄친 부분을 추가하여 .github/workflows 이 폴더가 프로젝트 폴더 밖에 생기더라도 원라는 디렉토리에서 깃허브 엑션을 실행할수있게해준다. 테스트 빌드까지는 성공하지만 자동배포는 아직 안해봤다 plain jar 파일 생성 막기 build.gradle 파일안에 아무곳이나 저 코드를 삽입해주면 빌드시 생기는 plain jar 파일을 막을수있다. (앵간하면 하는게 좋다) jar { enabled = false }
참조 에러 '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call sendError() after the response has been committed ' 2021-06-15 15:33:24.943 ERROR 17900 --- [nio-8080-exec-1]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WritableExcept..
nohup 종료 방법 nohup 종료방법 1. “ps -ef | grep 쉘스크립트파일명(tab 눌러서 자동 확인)” 명령으로 데몬형식으로 실행 2. "kill -9 PID번호“ 명령으로 해당 프로세스 종료